하비갤러리, 1/35 XK2 흑표 레진 키트 발표 1/35 XK2 / K2 흑표


지난 주말 하비페어에서 신예 개러지 메이커 하비갤러리가 1/35 XK-2 흑표 풀 레진 키트의 모크업을 선보였다.
위 링크 및 기타 정보를 모아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고.

●하비갤러리의 의뢰로 디비전미니어처(옛 D토이스)가 개발
●한국군용 AFV 자작으로 유명한 허유신 씨가 핵심 개발 멤버 
●현재 공개된 시제 차량 가운데 하나(아마도 PV2)를 재현
●레진제 풀 키트
●메탈 부품(포신/바스켓/연막탄 론처 등) 및 에칭 부품, 데칼 포함
●트랙(궤도)은 자체 개발한 가동식 인젝션 부품(별도 판매도 예정?)
초판 700세트 예정 <- 정정: 미정이라 함
●2011년 9월 발매 예정 / 약 20만원대 예정


우선 한국군 최신 국산 탱크라곤 하지만 아직까지 시제 차량에 지나지 않는데도 과감히 제품화한다는 것을 환영해야겠다.

- 타이밍이 좀 애매한데...흑표가 지난 2010년 하반기 이후 파워팩 결함에 개발비 횡령 등등 갖가지 추문에 휩싸인 상태라는 점과 정식 양산이 2013년으로 연기됐다는 점을 고려하면, 아무래도 흑표가 갓 발표된 지난 2007~2009년 당시의 열광적인 분위기가 싹 가셨기에 제품에 대한 수요 또한 꽤 감소한 상황이 아닐까 싶다. 대신에 지난 5년간 축적된 흑표 관련 자료나, 2010년을 전후하여 개러지 업계까지 널리 확산된 3D CAD 설계를 통해 부쩍 향상된 품질 및 기술력을 생각하면 지금 나오는 것이 더 낫겠다 싶기도 하다. 개러지 메이커의 입장이나 여건, 순발력을 생각하면 인젝션 메이커가 손대기 전인 지금이 오히려 딱 적시일 수도 있겠고 말이다.

- 그간 보여줬던 디비전미니어처(옛 D토이스)와 A모 인젝션 플라모델 업체의 밀착성을 고려하면, 흑표 양산형이 확정될 2012~2013년 즈음해서 이번 레진 키트의 데이터를 다듬어 A모 업체에서 흑표 양산형의 인젝션 키트를 낼 가능성이 없진 않아 보인다.
흑표 양산형 플라모델을 기대한다면 약 2년은 더 기다려 봐야 할 듯.

- 모크업은 실차(아마도 PV2)를 무난하게 잘 재현한 듯.
아직 세부 디테일이 미진한 상태라 딱히 더 언급할 수도 없다.
※일반인이 흑표를 가장 손쉽게 접했을 작년 용산 전쟁 기념관 전시 차량은 FTR 차체 + PV 포탑으로 보이므로, 테스트 중인 PV 시제차들이나 이번 키트와 차이가 좀 있다.

- 55구경장 주포를 메탈(알루미늄)로 한다면 그 무게 때문에 밑으로 축 처질 듯한데... 주포 고정식?

- 별도 제품화 가능성이 있는 가동식 트랙은 의문이 들기도 하고 지적할 부분도 있다.
※모크업의 트랙은 브롱코 레오파르트 2 가동식 트랙으로 보인다.
보다시피 가동식 인젝션을 예정한 듯한데, 사진의 붉은 원 부분들에 주의하기 바란다.
제품 소개 패널에 'K1, XK2 Workable Track'이라고 적어놓은 걸 보면 아마도 http://zakurer.egloos.com/3972277 에서 언급했던 'K1A1 후기형용 트랙(일명 짝퉁 T-158)'을 말하는 것 같다. 
우선, 흑표 시제차들은 현재까진 M1A1~A2용 정품 T-158 트랙을 쓴다고 알려져 있고 가장 최근 자료(위 사진)에서도 여전히 정품 T-158을 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따라서 이것만 본다면 하비갤러리의 트랙 제품은 옳다고 할 수 있겠다.
그러나 K1과 K1A1은, 지난 2009년 이후부터 이른바 '후기형'은 위와 같은 짝퉁 T-158 트랙을 쓴다. 이 짝퉁 T-158은 'T-156 센터 가이드 + T-158 패드'와 같은 구성이므로 흑표나 M1A2에 쓰이는 정품 T-158과 센터 가이드가 뚜렷하게 다르며, 2011년 현재도 여전히 짝퉁 T-158 형태 그대로이다(링크된 뉴스의 사진 컷에서 T-156 센터 가이드임을 알 수 있다). 그리고 흑표 양산형도 이 짝퉁 T-158 트랙을 그대로 공용하거나 일부 부품을 살짝 변경하여 사용할 것으로 알려진 상태이다. 
따라서 하비갤러리 측에서 만들고자 하는 인젝션 트랙은 결국 정품 T-158이 되며, 현재까지는 한국군 탱크 가운데선 흑표 시제차만 쓰고 있기에 제품 패널에 적힌 'K1, XK2 Workable Track'이란 설명은 일단 틀렸다.
또한 T-158은 일찍이 AFV클럽이나 현재는 브롱코트럼페터에서 이미 가동식 인젝션으로 제품화했고, 단종된 AFV클럽 것 외엔 대체로 국내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으므로 굳이 따로 제품화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. 다만 AFV클럽 것과 동일한 구조에다 아마도 스냅식일 것므로, 여러 방식 중 꽤 손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점이 의의(대신에 실물 재현성이나 가동 구조는 가장 뒤떨어진다)라고 하겠다.
제품명을 'T-158 Workable Track for XK2/M1A1/M1A2'로 바꾸거나, 아직 금형 작업에 들어가지 않았고 K1 계열까지 의식한다면 짝퉁 T-158 형태로 설계를 수정하는 것이 더 타당하지 않을까 한다.
※만약 하비갤러리 측이 로템이나 LS Mtron으로부터 '짝퉁 T-158의 완성형은 정품 T-158의 완전 복제품'이라는 정보를 얻어 그에 따른 것이라면 제품명을 바꿀 필요는 없겠다. 그런데 그렇다면 결국 정품 T-158이나 다름없으며 ,1/35 스케일에선 기존 T-158 가동식 트랙 제품들과 별다른 차별점도 없다...

덧글
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16:40 #

    허유신님이 개발 멤버에 들어가신다니 괜찮겠는걸? 했다가 D모사가 발매한다는 구절을 다시 보니 OTL입니다...
  • 윤민혁 2011/07/26 16:48 #

    D모사 제작이라고 벌써부터 좌절하실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. D모사 문제가 리서치 능력과 원형제작능력인데, 바로 그 부분을 허유신님이 맡으신 거였으니 아마 어지간해선 저 궤도 문제 제외하면 딱히 문제될 건 없을 겁니다.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17:01 #

    글쎄올습니다. D모사는 그 3D 프린터 출력물 느낌이 확 나는 표면처리부터 좀 어떻게 해줘야 선입견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거 같네요.
  • 윤민혁 2011/07/26 20:58 #

    그 표면처리를 이번엔 꽤 잘 처리했다-라는 얘기를 들었으니까요. (웃음) 뭐, 그래도 상당한 고가 - 들은 얘기로는 20만원 후반대라고... --; - 로 팔릴 것 같은 물건을 덜컥 사들일 만큼 믿음직스러운 건 아직 아니긴 합니다. 어차피 살 돈도 없지만요. orz

    그래도 초판을 700개나 찍는다니, 제 주머니가 풍요로워질 그날까지 재고 못 구할 일은 없지 않을까 싶어집니다. 아무리 한국군 아이템이라고 해도 레진+고가의 압박은 소비자들의 지갑을 단단히 붙들 만한 굉장한 장애물인지라... (먼산)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12 #

    메이커 이름도 바꿨으니 심기일전했기만을 바라야겠지요.
    물결처럼 층진 3D 프린터 출력물 복제품을 귀한 한국군 아이템이라고 감지덕지 사줄 만큼 소비자 눈높이가 낮진 않을테니 말이죠. :-)

    - 초판 700개는 일단 적힌 대로 옮긴 거지만 좀 많다 싶고.. 200개의 와전이 아닐까 의심도 합니다.
  • 윤민혁 2011/07/26 16:50 #

    사실 저 문제는 스냅타이트 궤도 설계에서 가이드 티를 별도부품으로 분할하는 것만으로 해결될 문제인데 말이죠. 선택 가능하게 해서 T-158 오리지널과 한국형을 함께 만들면 되니까요. 약간 모양 문제가 되긴 하겠지만, 그 부분을 보려고 궤도와 궤도 틈새에 확대경 들이미는 미치광이는 없지 않겠습니까. (...)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17:07 #

    글쎄요. 토이갤의 다빈치님 같으면 확대경 들이대실 듯 합니다.^^;;;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16 #

    사실 민혁님이 제시하신 방법이 최종 해결책이자 모범 답안이지만, 금형 더 파야 하니 돈 더 들죠. 어지간한 의지 아니면 그 방식을 선택하진 못할 겁니다.
    제품명 수정이 가장 현실적이며 돈도 안 들고 편하기까지 한 해법일 듯 합니다...
    브롱코 가동식 트랙을 벌크로 끼워넣는 게 더 간편한 해법일 듯하지만 말이죠 :-)

    - 브롱코 가동식 트랙 정도면 굳이 현미경 들이대지 않아도 어지간하면 만족스러울 디테일 및 해상도일 듯합니다.
  • 윤민혁 2011/07/26 21:34 #

    브롱코에서 T-156과 T-158이 모두 나와 있던가요? 그렇다면 두 궤도의 부품 런너를 섞어 넣어주는 게 제일 간단한 해결책이 되긴 할 텐데... 근데 사실 레진으로 전차 만들면서 이걸 위한 별매 궤도를 인젝션으로 팔 정도의 돈을 퍼부을 각오가 있다면, 금형 2벌 만들기 정도는 저지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. T-156/158 선택 가능 궤도세트쯤 되면 거의 경악스러운 물건임과 동시에 의외로 시장성도 되지 않을까요. 안 그래도 K1A1을 위한 만족스러운 별매궤도도 아직 없는 판이니까요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51 #

    브롱코에선 T-142와 T-158만 나와 있지요. 브롱코 것들로만 짝퉁 T-158을 하자면 http://pds18.egloos.com/pds/201107/26/65/b0000065_4e2eb5d9e77b1.jpg 이처럼 T-142(M60용) 폭이 한참 넓기에 부품 섞기로는 해결이 안 되므로 유저 레벨에서 개조해야만 합니다.
    K1 시리즈에 적용할 수 있는 가동식 T-156이라면 트럼페터제로 나와 있습니다. 단, http://gall.dcinside.com/list.php?id=toy&no=151143 이처럼 허접한 수준입니다만...

    - T-156과 158은 패드 모양 자체가 아예 달라서 고려 대상 자체가 안 되죠^^; 짝퉁 T-158/정품 T-158 겸용이라봐야 철저히 한국향이고 말이죠. 아예 K1 시리즈 및 M1~M1A1 초기형을 노려 T-156을 파는 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. 마침 모 개러지 메이커에서 K1A1용 K1 컨버전을 기획하고 있다고도 하니 말이죠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59 #

    차라리 위 트럼페터 T-156이나 AFV클럽의 대부분 녀석들처럼 센터 가이드가 별도 부품으로 된 구조였다면 아까 적어주신대로 짝퉁 T-158용 센터 가이드만 추가해 선택 사양으로 하면 될텐데... 싱글핀 트랙화한 위 하비갤러리 방식은 아예 설계 다시해야 하니 선택의 폭이 없어 보입니다. 게다가 정품 T-158 트랙이 되는데 이건 만들긴 지랄같지만 브롱코의 결정판(거기다 가격도 싼...)이 있으니 참으로 애매한 것 같습니다.
  • 윤민혁 2011/07/26 23:00 #

    트럼페터 궤도들을 봤으니 하는 얘기지요. T-156과 158 두 궤도를 모두 상품화하면 사실 제일 좋고, 특히 158은 브롱코 물건이 만들기 참 뭐시기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럭저럭 괜찮은 아이템이 될 수 있다는 느낌입니다. 옛 아머트랙 물건인 현재의 트럼페터 궤도 구조로, 가이드티와 궤도 패드를 각각 2종 만들고 여기에 궤도 링크만 공용으로 쓰는 식으로 말이죠. 조립성도 괜찮고 가동성도 괜찮은 물건으로 T-156은 내수, T-158은 수출을 감안하고 만들면서 두 궤도 부품을 함께 넣어놓는 것으로 K1A1 후기형 궤도를 만든다면 꽤 괜찮지 않을까 하는 겁니다.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23:06 #

    두분 논쟁을 보면서 한수 또 배웁니다.
    문제는 과연 국내 레진 메이커들이 그정도로 정확한 물건을 만들 리서치 의지가 있냐는 거죠. 한국 제일의 레진업체라는 레 ㅈ드도 그정도까지의 열성이 없으니까요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3:12 #

    아아, 그런 방식이라면 나름 괜찮긴 할텐데...
    그런데 따지고 보면 엔드 핀 빼곤 다 따로 만드는 거잖아요^^ 그러면 결국 제품 2종류 따로 금형 파는 거나 거의 마찬가지인데 처음부터 2종류 모두 생산하겠다는 용자스러운 기획 아니라면 선뜻 손대지 못 할 것 같아요.

    트럼페터식 구조로 가장 이상적인 구성이라면
    T-156 ↔ 엔드 핀(금형 코어) ↔ T-158(+짝퉁용 센터 가이드 선택)
    로 금형군을 설계해서 그때그때 맞는 아이템을 낼 수 있게 하는 걸텐데...이상으로 망상 마치겠습니다 :-D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23:14 #

    참, 제가 보기에는 자쿠러님께서는 브롱코궤도가 최고의 결정판이라 후발 메이커가 파고들 약점이 거의 없다는 입장이시고민혁님께서는 브롱코 궤도에도 조립성이라는 단점이 있으니 후발 메이커가 파고들 수 있다는 입장으로 보이는데, 맞습니까요?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3:24 #

    브롱코 게 실물 구조 재현도 그렇고 디테일에선 현재 결정판급인 건 확실합니다. 대신 꽤 까다로운 조립성은 확실한 약점. 그 부분에서 파고들 여지는 있지요. 그러나 브롱코 게 1만원대 가격이므로 가격 대비 품질까지 따지면 현재로선 가동식 T-158 가운데선 가장 메리트 있는 선택지입니다.
    호환성이나 베리에이션은 트럼페터 방식이 낫겠고요.
    어쨌거나 T-158은 가동식이건 연결식이건 고무 궤도건 꽤나 종류가 많아 선택지도 다양하고 특히나 브롱코와 트럼페터 것을 별 문제 없이 구할 수 있는 상황이라 새로 뛰어들려면 그만한 차별성과 비교 우위 및 가격 경쟁력까지 보여줘야 한다는 점이 하비갤러리 측에 부담이 되겠죠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3:25 #

    그리고 지난 몇 년 동안 여러 메이커가 생기고 경쟁하면서 리서치나 고증, 정확한 스케일에 쏟는 관심도가 이전에 비해 많이 높아졌다고 봅니다. 일례로 DEF의 타이어 제품군은 0.X mm 단위 스케일 오차를 신경 쓸 정도까지 됐으니까요.
    앞으로 더 나아지리라 기대하고...
    이번 XK2가 실물 자료조차 꽤 제한적인 상황에서 적당한 수준에 그치는가, 여건 한도 내에서 최대한 꼼꼼한 리서치를 거쳤는가는 역시 제품 나오고 나서 판단해야할 것 같습니다.
  • 강태구 2011/07/26 18:22 # 삭제

    이번 제품은 3D프린터의 물결무늬를 다듬기위해, 차후에 볼트 수백개를 이식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. 허유신님께서 리서치나 개발을 맡으셨다는 것은 상당한 장점인데.. 그래도 막상 시제품을 출력해보면, 하나 둘 자잘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지요. 문제는 과연 D사가 그런 자잘한 오류발생시.. 수정하려는 의지가 있느냐는 점입니다. 그간의 전력으로 보면.. 그점이 많이 걱정스러운 부분이겠지요^^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22 #

    자잘한 오류라면 차라리 기쁘기도 하고 관대히 넘어가지요. K1A1이나 K9, 험비 때처럼 기본 와꾸 단계에서 잘못되지만 않으면 되는데 두고봐야할 듯합니다.

    700개나 팔 만큼 수요가 될 지도 모르겠지만, 레진이나 개러지 옵션 메이커들 속성이나 관행(?)이 오류 수정보단 재빠른 먹튀 단종(...)이나 버전업 위주였으니 초판 찍기 전에 오류를 최대한 없애기만 바라야겠지요. 뭐, '레진 제품 오류 수정용 레진 제품'이란 방법도 있긴 합니다. 좀 엽기적이겠지만요. 하핫.
  • 네비아찌 2011/07/26 23:11 #

    허유신님의 능력이야 훌륭하십니다마는, 경영진에서 개발자에게 어느정도의 재량을 줄지, 또 실제 생산 능력이 개발자의 구상을 제대로 담을 수 있을지가 참 걱정이네요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3:26 #

    유저 입장에서 고민할 사항은 아닌 듯합니다. 좋은 기획과 설계를 못 살린다면 메이커의 문제겠지요 :-)
  • 쿠루니르 2011/07/26 20:17 #

    이상하게 제 눈에는 포탑이 차체에 비해서 작아 보이는군요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1:33 #

    전체 와꾸나 프로포션을 바로 파악할 수 있는 실차 사진도 귀한 편이라 바로 판단은 못하겠는데.., 색에 따른 볼륨감 인식의 차이도 있겠고 말이죠. 별 문제는 없으리라 봅니다만.
    만약 나중에 틀리다고 밝혀진다면 눈썰미가 대단하신 겁니다. :-)
  • 두드리자 2011/07/26 23:07 # 삭제

    모든 답은 물건이 나온 이후에...
  • ZAKURER™ 2011/07/26 23:28 #

    꼭 그런 건 아니지만 물건 나온 이후의 답은 너무 때늦은 경우도 가끔 있긴 했지요.
    하여간에 지금 단계에선 저 이상 더 따질 구석은 없어 보입니다.
  • maliji 2011/08/01 06:56 # 삭제

    거시기 D모처에서 연락을 받았는데(라고 해봤자 쪽지로 받은 것입니다만~~;;) 수량 700개는 미확정이라고 합니다.
    해서 700이라는 숫자는 큰 의미가 없는 숫자가 되버렸네요.
    제 글에서 나온 숫자이니만치 잘못된 정보임을 알려드립니다.^^;;;;;;;
  • ZAKURER™ 2011/08/02 11:46 #

    아무래도 700은 좀 많다 싶었는데...
    들은대로 적으신 것 뿐인데, 인용하면서 어쨌거나 괜하게 신경쓰이게 해서 죄송할 따름입니다.^^;
※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.